TONA 소개

TONA 개념과 원리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Task-Oriented Neuromuscular Approach, TONA)의 정의

(1) 최근 중추신경계발달재활치료와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핵심 키워드
  • 중추신경계재활의 최근 경향은 치료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중추신경계 손상에 대한 치료의 핵심 키워드는 ‘증거-기반(evidence-based)’, ‘과제-지향(task-oriented)’, ‘환자-중심(patient-centered)’으로 강조되고 있음(그림 1).
    중추신경발달재활치료의 최근 경향
    • 증거-기반 (evidence - based)
    • 과제-지향 (task - oriented)
    • 환자-중심 (patient - centered)
    그림 1. 최근 중추신경계발달재활치료의 핵심 키워드
  • 임상 현장에 ‘정상적 운동 형태’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보바스, 보이타,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PNF) 등의 치료 방법들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기능 증진에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미약함(Pomeroy와 Tallis, 2000; Paci, 2003; Hafsteinsdottir 등, 2005; Kollen 등, 2006; Lennon 등, 2006).
  • 지난 20년간 신경과학은 큰 발달과 과학적 진보를 이루었고, 이를 기반으로 중추신경계 손상의 재활 중재를 위한 새로운 개념들이 개발되었음. 많은 연구들의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있음.
  • 뇌 영상 연구들에서 과제지향접근법이 손상된 뇌의 여러 영역에서 신경활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Turkstra 등, 2003; Kleim 등, 2004; Nudo 2007), 이러한 효과는 운동과 경험에 따른 신경 가역성 및 뇌 재조직화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Johansen-Berg 등, 2002; Jang 등, 2003; Liepert 등, 2004; Lindberg 등, 2004; Luft 등, 2004; Ward 등, 2007).
(2)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정의
  • 과제지향접근법은 중추신경계 손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중추신경계와 운동계의 상호작용과 운동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는 움직임을 근거로 하여 목표 지향적으로 조직화시킨 접근법임(Shumway Cook과 Woollacott, 2001).
  • 과제지향접근법은 트레드밀 훈련, 지면보행 훈련, 자전거타기 프로그램, 지구력 훈련, 순환 훈련, 앉고서기 훈련, 팔 뻗기 훈련 등 다양한 치료 중재 방법들을 포함함. 또한 물건 잡기, 억제유도치료(constraint-induced therapy), 상상훈련과 같이 기능적 과제를 이용한 상지 훈련들을 시행할 수도 있음. 이 같은 훈련 방법들은 치료사 중심이 아닌 환자 중심의 과제들, 즉 환자의 생활과 활동에 꼭 필요한 과제들로 구성되어야 함(Rensink 등, 2009).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이론적 근거

Carr와 Shepherd(1987)의 운동학습 개념
  • 신경계 재활에 대한 물리치료사의 근본적인 접근방법의 전환에 기여.
  • 1980년대 장애(disability)에 근거하여, 널리 쓰이고 있는 신경생리학적 접근법들(Bobath 기법, Rood, PNF 등)이 적합하지 않으며, 재활기법 자체가 남아있는 장애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음.
  • 운동재학습프로그램(Motor Relearning Programme, MRP) 개발
    • 불필요한 근육활동의 제거, 되먹임, 연습(practice)과 함께, 운동조절이 기능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임.
    • 운동학습 개념을 뇌졸중이 발생한 뇌의 가역성(plasticity) 향상 방법에 통합함.
  • 뇌졸중 재활 분야에서의 근력의 중요성을 강조함.
  • 뇌병변이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 과제지향적 훈련과 근력 훈련이 근력과 기능수행능력에 효과적인 영향을 줌(다수의 연구: 1995~현재).
  •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과제지향적 운동과 훈련을 이용하는 운동학습에 더 많은 중점을 두어야 함(다수의 연구: 2000~현재).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신경과학적 근거
  • 1990년대 후반부터 중추신경 영상 진단법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신경과학적 분석법이 개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임상 연구들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음.
  • 중추신경계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적 작용 기전에 근거한 중추신경계 치료의 효과 검증.
  • 뇌는 기능적으로 운동 과제를 수행하기 적합하게 작용하므로 중추신경계 재활은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과정을 따라 진행되어야 함.
  • 원숭이 실험에서 운동 과제에 대한 반복연습은 운동수행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중추신경계의 가역적인 변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음(Nudo 등, 1996, 2001).
Taub(1994)과 Wolf(2006)의 과제지향접근법의 집중 적용
  • 1990년대 후반부터 연구되면서 임상 치료환경에 적합한 과제지향접근법으로 소개되고 있음.
  • 상지 운동과제의 반복 연습을 통한 운동학습의 원리 강조.
  • 건측 억제 및 환측 촉진의 개념으로 환측의 집중 사용을 강조한 억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의 사용.
  • 과제지향접근법을 이용하여 환측의 강제 사용을 강조함으로써 환측의 신경근 조절 및 학습 강화.
  • 두 가지 중요한 중추신경계 재활 원리:
    • 학습된 비사용증후군의 극복
    • 실제 사용에 따른 뇌가역성 촉진
중추신경계 손상에 대한 치료 패러다임의 변화
  • 증거에 기반한 중추신경계 치료로 치료 경향이 변화됨.
  • 중추신경계 재활에서의 최근 이슈: 능동적 운동, 운동 조절 및 학습, 과제지향접근법, 저항운동, 감각-운동경험
  •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적용은 목표-지향적인 과제를 선택하여 반복 연습하는 것으로 기능적 수준의 증진 및 신경 가역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것(Nudo 등, 1996; Jones 등, 1996; Dobkin, 2004).
  •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ICF)의 설명에 근거하여 임상 현장에서 과제지향접근법의 원리 및 가이드라인이 제시되고 있음(Hubbard 등, 2009).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적용 범위

  • 중추신경계발달재활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기능을 증진시켜 지역사회 참여를 높여 병전 이전의 생활 형태로 복귀시키는 것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인 측면을 포괄하고 다양한 치료적 관점을 포괄하는 통합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이 대두됨.
  •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은 기존의 중추신경계발달재활치료의 수가로 인정되고 있는 보바스 및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집의 기본적인 개념과 절차를 수렴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정상적인 움직임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고유수용감각 증진 테크닉들을 사용하고 있음(그림 2).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
    - 통합적인 치료 접근법 -
    보바스요법

    정상적 움직임 촉진

    반사활동 억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근육 기능 촉진 및 억제

    대각선 운동

    과제지향훈련

    목표·지향적인 과제 훈련

    운동조절 및 학습

    • 능동적 참여
    • 기능 증진
    • 활동 수행
    • 지역사회 통합
    • 삶의질 향상
    그림 2.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적용 범위
  •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기능과 활동을 증진시키고 지역사회와 통합을 이루며, 나아가 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임.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개념

  • 중추신경계 질환은 전체적인 운동조절을 손상시키고 중추신경계의 근육역학 및 관절역학을 변화시킴으로써 감각-운동 조절을 어렵게 만들어 운동손상과 기능장애를 발생시킴(그림 3).
    그림 3. 중추신경계 질환의 기능장애 모델
  • 인체의 움직임과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가장 효율적 신체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에서 가장 중요한 관점은 최적의 신체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하는 것임.
  • 최적의 신체 기능은 관절 운동과 근육 활동에 근거한 신경근육 시스템의 통합적인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에서 최고의 가치는 평가 및 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할 때 이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개념으로 포함하고 있음.
  •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에서 중요한 치료적 관점(그림 4과 5):
    • 중추신경 손상 이후 강직과 공동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관절 부정렬을 교정하고 올바른 근육 활동을 유도하여 신경근 협응 조절을 재설정하는 과정은 정상적인 움직임 회복에 필수적인 요소임.
    •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신체 움직임을 고려하여 최적의 운동조절은 기능적 활동을 통해 완성되므로, 실제 생활에 필요한 기능적 과제들을 반복 수행하는 것이 중요함.
    그림 4.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치료 모델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TONA)의 치료 목표 및 구성
    • 능동적 접근
      • 중추신경계 능동적 평가
        • 신체적인 특성과 기능 수준에 대한 능동적 정량 평가
        • 강직 및 공동운동의 영향 평가
      • 중추신경계 능동적 치료
        • 능동 참여를 통한 치료 과정 촉진
        • 환자의 기능 수준에 적합한 치료의 구성
        • 환자에게 요구되는 기능적 과제에 대한 훈련
    • 신경근과제지향적 접근
      • 중추신경계 목표·지향적인 운동과제의 수행
      • 최신 근거와 자료를 통합한 중추신경계 치료
      • 기능 훈련에 대한 중점
      • ICF 모델에 근거한 중추신경계 평가와 치료
        • 신체구조와 기능
        • 활동
        • 참여
    • 운동과학적 접근
      • 중추신경계 관절의 운동성 증진
        • 관절 부정렬의 회복
        • 관절 운동의 협응성 향상
      • 중추신경계 근육 조절 능력 회복
        • 근육 불균형의 교정
        • 근육 운동조절 능력 향상
        • 능동적 안정성 확보
        • 운동사슬반응의 영향
    • 운동조절 및 학습
      • 중추신경계 운동조절 이론에 근거한 치료 계획
        • 운동성 촉진 전략
        • 안정성 유지 전략
        • 활동 수행 증진
      • 중추신경계 운동학습 원리에 근거한 치료 적용
        • 기능적 과제의 구성
        • 집중적 반복 연습
        • 신경가역성의 원리
    • 정상 움직임/고유수용감각
      • 정상 움직임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 가이드
      • 고유수용성감각 기능과 능동적 조절 촉진
      • 충추신경계 감각·운동 협응 및 균형 능력
    • 지역사회 참여 및 통합
      • 중추신경계 능동적 참여
      • 중추신경계 지역사회 활동
      • 병전 생활로의 복귀
    그림 5.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치료 모델에 근거한 목표 및 구성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치료 요소

  •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은 중추신경계발달재활치료의 최근 경향과 이론적 근거에 입각하여 Carr와 Shepherd의 운동학습 개념을 추구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평가 및 치료를 시행함.
  •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에서는 중추신경계 환자들의 기능적 재활을 돕기 위하여 6가지 주요 치료요소를 강조함(그림 6).
    그림 6.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주요 치료 요소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적용 절차

(1)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기본 구성 및 적용 절차
  •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은 정상 움직임과 고유수용감각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를 포함하고 있는 운동과학 테크닉과 과제지향접근법으로 구성되어 있음(그림 7).
    그림 7.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TONA)의 적용 절차
  • 운동과학 테크닉은 고유수용감각을 정상화시켜 정상적인 움직임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술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관절 부정렬과 근육 불균형을 교정하는 것임. 과제지향접근법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신체적인 특성과 기능적 과제분석을 통해 최적의 치료 환경을 만듦으로써 집중적인 기능 훈련을 시행하는 과정을 학습하는 것임.
  •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이 기능적 과제의 수행 기술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시간 동안 시행되어야 함(Kwakkel, 2006). 조직화된 재활 프로그램은 기능 회복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중추신경계 손상 후 가능한 조기에 시행되어야 함(Indredavik 등, 1999; Langhorne과 Pollock, 2002).
(2)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의 기본 테크닉 및 절차
테크닉 및 절차 설명
도수 가이드(hands-on guide)
  • 훈련 초기에 운동 과제 수행에 대한 전문적 가이드 제공
  • 치료사의 도움은 최소한으로 유지
직접 연습(hands-off practice)
  • 운동 과제의 직접 수행을 통한 경험 축적
  • 반복된 연습과 운동 경험에 의한 학습 촉진
기능 훈련(functional training)
  • 기능적 움직임 훈련을 통한 운동성 증진
  • 과제-지향 훈련의 적용
신체 정렬(body alignment)
  • 중추신경계 손상 후 자세 부정렬의 분석
  • 자세 정렬과 관련된 운동 불균형 설명
  • 올바른 자세에서의 운동 수행 강조
  • 모든 움직임의 기초인 중심선 지향(midline orientation)의 촉진
  • 각 신체 부위에 대해 상호작용하는 운동사슬(kinetic chain) 시스템의 회복
정상적 움직임(normal movement)
  • 조화로운 근육 작용을 통한 정상적인 움직임을 강조
  • 근육 불균형(근력 및 길이)의 회복 전략 촉진
근위부 안정성(proximal stability)
  • 원위부 운동성의 기초인 근위부 안정성의 촉진
  • 몸통을 중심으로 한 근위부 관절의 안정성 증진
원위부 운동성(distal mobility)
  • 목적인 동작 수행을 위한 원위부 운동성 촉진
  • 기능성을 강조한 원위부 운동성 반영
조절된 안정성과 운동성(controlled stability and mobility)
  • 조화로운 안정성과 운동성의 통합
  • 근위부와 원위부의 운동 조절
  • 중심선-교차 운동(midline-cross movement)의 조절
중립 위치(neutral position) / 관절 안정화(joint stabilization)
  • 근육과 관절의 운동성의 기초가 되는 중립 위치 및 중립 구역의 설정
  • 중립 위치의 유지를 위한 관절의 안정성 근육 작용 촉진
정상 타이밍(normal timing)
  • 운동조절에서 촉진과 억제 타이밍 강조
  • 기능적 활동 동안 안정성과 운동성 조절 타이밍의 수립
반복 연습(repeated practice)
  • 운동학습을 위한 반복 연습
  • 충분한 강도와 기간 설정
구두 안내(verbal guideline)
  • 연습 과제 및 훈련 절차에 대한 설명
  • 과제 수행에 필요한 인지적 노력 촉진
시각 및 청각 되먹임(visual and auditory feedback)
  • 운동 수행 및 결과와 관련된 감각 되먹임의 적용
  • 운동 수행력 증진을 위한 시각 암시(visual cues) 및 청각 암시(auditory cues)의 사용
감각-운동 협응 및 통합(sensory-motor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 감각 입력의 조절을 통한 운동 출력의 촉진
  • 정상적인 감각 경험과 운동학습
  • 감각 자극과 운동 반응 과정의 통합적 조절

신경근과제지향접근법(TONA)의 임상적 효과성

임상적으로 최고의 증거력을 가진 체계적 고찰 및 무작위대조군연구 형태의 뇌졸중 재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Rensink 등, 2009), 과제지향접근법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재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음(표 1, 표 2).

표 1. 체계적 고찰연구(뇌졸중 환자 대상)를 통해 설명된 과제지향훈련법의 임상적 효과성
연구자 정보 치료 포함된 연구의 수 결론
van der Lee 등 (2001) 상지 운동치료 13 RCT
  • 운동치료가 상지 기능에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불충분함
  • 과제지향접근법의 필요성 강조
Van Peppen 등 (2004) 다양한 물리치료 123 RCT +
28 CCT
  • 과제지향접근법이 균형 및 보행 능력을 회복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매우 강함
  • 전통적인 신경학적 치료 접근법들(NDT, PNF, Brunnstrom)의 효과는 충분한 증거를 보이지 않음
Saunders 등 (2016) 신체적성 훈련 12
  • 보행 훈련 후 보행 속도 및 보행 능력이 증진되었음
  • 치료 효과는 과제지향훈련과 관계되어서 발생하였음
Van de Port 등(2007) 과제지향훈련 12
  • 기능 운동 및 보행 기능에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강함
Bohannon (2007) 근력강화운동 3 SR + 5
RCT + 7
  • 근력강화운동은 기능적 활동 수행 및 참여에 대한 효과는 분명하지 않음
  • 기능 증진을 위하여 체계적인 과제지향접근법을 시행하여야 함
Ada 등(2006) 근력강화운동 15
  • 근력 증진에 효과적이었으나 강직에 대한 효과는 없었음
  • CCR: 임상대조군연구(clinical controlled trial)
  • RCT: 무작위대조군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 SR: 체계적 고찰연구(systemic review)
표 2. 중추신경계 질환(뇌졸중) 관련 무작위대조군 연구를 통해 요약된 과제지향훈련법의 임상적 효과성
연구자 정보 치료군 대조군 평가 결론
Dean과 Shepherd (1997) 과제지향접근법 (팔 뻗기) 다른 훈련 근력, 앉고 서기, 팔 뻗기
  • 치료군에서 과제 수행능력이 더 크게 항상되었음
  • 근력이 증진되었음
Mudie (2002) 등 과제지향접근법 보바스
균형훈련
훈련 없음
균형 능력 보바스 치료 집단에서보다 균형훈련 집단과 과제지향접근법 집단에서 더 큰 항상성이 있었음
Michaelsen과 Levin (2004) 과제지향접근법: 몸통 움직임 억제 유무에 따른 팔 뻗기 - 상지 기능 몸통을 억제 집단에서 팔의 움직임과 상지 기능이 더 크게 항상되었음
Michaelsen (2006) 과제지향접근법 (팔 뻗어 물건 잡기) 가정운동 프로그램 상지 기능 치료군에서 상지 기능과 운동성이 더 크게 항상되었음
Dean (2007) 과제지향접근법 (앉기 훈련) 다른 훈련 근력, 반응 시간, 서기, 걷기 치료군에서 팔 뻗기, 앉기, 서기, 걷기 능력이 더 크게 항상되었음
Dean 등 (2000) 순환식 과제지향접근법 상지 훈련 보행 속도, 지구력, 보행 능력 치료군에서 모든 변수들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
Blennerhassett와 Dite (2004) 순환식 과제지향접근법 상지 훈련 동적 균형, 보행 능력, 상지 기능
  • 치료군은 보행기능이 향상되었고 대조군은 상지기능이 향상되었음
  • 치료 효과는 과제와 관련되어서 나타났음
Salbach 등(2004) 괴제지향접근법 상지 훈련 보행 및 균형 능력 치료군에서 보행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
Duncan 등(1998) 과제지향접근법
- 가정운동
다른 훈련 상지 기능, 하지 기능, 보행 및 균형 능력 치료군에서 상지/하지 기능, 보행 및 균형 능력이 더 크게 향상되었음
Winstein 등(2004) 일반 치료
  • 과제지향접근법
  • 근력 훈련
상지 기능, 근력
  • 과제지향접근법과 근력 훈련 집단에서 상지기능과 근력이 더 크게 향상되었음
  • 과제지향접근법의 효과는 9개월 이후에 까지 유의하게 유지되었음
Wolf 등(2006) 과제지향접근법(CIMT) 치료 없음 상지 기능 치료군에서 상지 기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음
Wu 등(2007) 과제지향접근법(CIMT) 전통적인 치료 상지기능, 삶의 질 치료군에서 상지 기능과 삶의 질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음
  • EG: 실험군(experimental group)
  • CG: 대조군(control group)
  • CIMT: 억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