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 움직임 촉진
반사활동 억제
근육 기능 촉진 및 억제
대각선 운동
목표·지향적인 과제 훈련
운동조절 및 학습
테크닉 및 절차 | 설명 |
---|---|
도수 가이드(hands-on guide) |
|
직접 연습(hands-off practice) |
|
기능 훈련(functional training) |
|
신체 정렬(body alignment) |
|
정상적 움직임(normal movement) |
|
근위부 안정성(proximal stability) |
|
원위부 운동성(distal mobility) |
|
조절된 안정성과 운동성(controlled stability and mobility) |
|
중립 위치(neutral position) / 관절 안정화(joint stabilization) |
|
정상 타이밍(normal timing) |
|
반복 연습(repeated practice) |
|
구두 안내(verbal guideline) |
|
시각 및 청각 되먹임(visual and auditory feedback) |
|
감각-운동 협응 및 통합(sensory-motor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
|
임상적으로 최고의 증거력을 가진 체계적 고찰 및 무작위대조군연구 형태의 뇌졸중 재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Rensink 등, 2009), 과제지향접근법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재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음(표 1, 표 2).
연구자 정보 | 치료 | 포함된 연구의 수 | 결론 |
---|---|---|---|
van der Lee 등 (2001) | 상지 운동치료 | 13 RCT |
|
Van Peppen 등 (2004) | 다양한 물리치료 | 123 RCT + 28 CCT |
|
Saunders 등 (2016) | 신체적성 훈련 | 12 |
|
Van de Port 등(2007) | 과제지향훈련 | 12 |
|
Bohannon (2007) | 근력강화운동 | 3 SR + 5 RCT + 7 |
|
Ada 등(2006) | 근력강화운동 | 15 |
|
연구자 정보 | 치료군 | 대조군 | 평가 | 결론 |
---|---|---|---|---|
Dean과 Shepherd (1997) | 과제지향접근법 (팔 뻗기) | 다른 훈련 | 근력, 앉고 서기, 팔 뻗기 |
|
Mudie (2002) 등 | 과제지향접근법 | 보바스 균형훈련 훈련 없음 |
균형 능력 | 보바스 치료 집단에서보다 균형훈련 집단과 과제지향접근법 집단에서 더 큰 항상성이 있었음 |
Michaelsen과 Levin (2004) | 과제지향접근법: 몸통 움직임 억제 유무에 따른 팔 뻗기 | - | 상지 기능 | 몸통을 억제 집단에서 팔의 움직임과 상지 기능이 더 크게 항상되었음 |
Michaelsen (2006) | 과제지향접근법 (팔 뻗어 물건 잡기) | 가정운동 프로그램 | 상지 기능 | 치료군에서 상지 기능과 운동성이 더 크게 항상되었음 |
Dean (2007) | 과제지향접근법 (앉기 훈련) | 다른 훈련 | 근력, 반응 시간, 서기, 걷기 | 치료군에서 팔 뻗기, 앉기, 서기, 걷기 능력이 더 크게 항상되었음 |
Dean 등 (2000) | 순환식 과제지향접근법 | 상지 훈련 | 보행 속도, 지구력, 보행 능력 | 치료군에서 모든 변수들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 |
Blennerhassett와 Dite (2004) | 순환식 과제지향접근법 | 상지 훈련 | 동적 균형, 보행 능력, 상지 기능 |
|
Salbach 등(2004) | 괴제지향접근법 | 상지 훈련 | 보행 및 균형 능력 | 치료군에서 보행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 |
Duncan 등(1998) | 과제지향접근법 - 가정운동 |
다른 훈련 | 상지 기능, 하지 기능, 보행 및 균형 능력 | 치료군에서 상지/하지 기능, 보행 및 균형 능력이 더 크게 향상되었음 |
Winstein 등(2004) | 일반 치료 |
|
상지 기능, 근력 |
|
Wolf 등(2006) | 과제지향접근법(CIMT) | 치료 없음 | 상지 기능 | 치료군에서 상지 기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음 |
Wu 등(2007) | 과제지향접근법(CIMT) | 전통적인 치료 | 상지기능, 삶의 질 | 치료군에서 상지 기능과 삶의 질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