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김원석 교수팀 연구결과
전신근육감소, 혀·저작근 등 기능저하로 연하장애 유발
근력·심폐기능유지 위해 운동과 양질의 단백질 섭취해야
근감소증을 앓고 있는 노인은 연하장애 발병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김원석·백남종 교수팀이 근감소증과 연하장애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근감소증은 연하장애의 발생위험을 약 2.7배 까지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음식물을 씹고 삼키는 과정이나 기능에 문제가 생긴 연하장애는 노인에게 흔한 증상 중 하나다. 먹고 마시는 과정이 불편해져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심하면 흡인성 폐렴 등으로 이어져 입원치료가 필요하거나 자칫 사망할 수도 있다.
연하장애 주요원인으로는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와 같은 신경계 질환이나 만성폐쇄성 폐질환 등 만성질환이 있다. 하지만 특별한 원인이 없더라도 연하장애를 앓는 노인이 많은데 이들은 근감소증이 원인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입원 중인 환자나 요양시설에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라 한계가 있었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연구팀은 지역사회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근감소증이 연하장애의 위험요인이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국인의 건강과 노화에 대한 전향적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연하장애의 주요 원인인 뇌졸중, 파킨슨병, 인지장애, 만성 폐쇄성 폐질환, 턱관절 장애가 없는 23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236명의 노인 중 54명(22.9%)이 연하장애 증상을 호소했으며 이중 14명(5.9%)이 근감소증과 함께 연하장애를 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하장애 주요원인질환이 없는 환자 54명 중 14명(약 26%)에서 근감소증이 동반됐으며 근감소증을 앓는 노인은 연하장애 발생위험이 약 2.7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김원석 교수는 “노인은 전체적으로 근육이 줄면서 혀, 저작근, 인두근육에서도 근육량이 감소하고 기능이 떨어져 결국 음식물을 삼키는 기능까지 약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근감소증은 낙상, 골절, 대사증후군을 포함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며 활동량이나 영양이 부족한 노인들은 연하장애도 더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근력과 심폐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산소운동 및 근력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시하고 양질의 단백질섭취로 근육량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근감소증과 연하장애 사이의 정확한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 및 근감소증이 동반된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재활치료와 임상연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